BLOG main image
Nothing great was ever achieved without enthusiasm.

얼마전 포스팅한 글 중에 화광판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많이 사용해보지 않은 상태에서 글을 썼었기에 약간 부실한 면이 있더군요.

요즘 화광판으로 판을 출력하기에 화광판에 대한 이러저러한 생각이 들어 포스팅해볼랍니다.

(1)현상범위
   의외로 넓습니다.
   저희 회사의 현상기의 속도는 분당 몇 mm를 나가는가로 계산을 합니다.(mm/m)
   이 기준으로 봤을 때 중간점을 기준으로 위아래 150정도의 범위를 가지는 것 같습니다.
 
   이건 안정적인 상황을 연출하기 위함이고...
   최대 범위로는 위아래 200~250, 즉 범위가 400~500정도를 나타내고 있죠.

   다만... 하한점을 현상속도로 잡을 경우 유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각각의 인쇄소의 기계마다 고유의 특징이 있는데 그 특징중에 잉크발이 잘 올라오는
   인쇄기계가 있는가 하면 잉크발이 의외로 안 올라오는 인쇄기계도 있습니다.

   CTP출력 경험상 오래된 인쇄기계일수록 망점이 약할 경우 잉크발이 안 올라오는 경우가 많더군요.
  
   이런 기계를 운용중인 인쇄소에 화광판을 현상속도를 하한점으로 잡고 현상을 해서 보낼 경우
   인쇄가 흐리멍텅하게 나오는 경우가 발생되게 됩니다.

   어제 제가 뽑았던 판중 그런 케이스가 있었더랬습니다.
   다른 인쇄소에선 아무런 말이 없는 판인데 그 인쇄소에서만 말이 나오더라구요.
   하필이면... 표지판이라서... 결국 다시 뽑아주었다는... 윗 분들에게 욕 바가지로 먹었었죠...

   따라서 화광판을 사용시 가급적 현상속도를 중간 이상으로 잡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2)요그레
   제일판과 약간은 유사한 면이 화광판에서 나오더군요.

   제일판의 단점중에 하나가 하리쪽 끝 부분에 요그레 띠가 나온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끝 부분의 요그레 띠를 완전히 날려버리게 되면 망점이 인쇄에 부적합할정도로 엄청나게 날라갔다는  
   뜻이 되기도 합니다.

   화광판에서도 요그레가 있을 경우 하리쪽 끝 부분에 요그레 띠가 나오더군요.

   다만... 제일판과 확연히 다른 점이 있다면...
   하리쪽 끝 부분에 보이는 요그레 띠가 사라진 것이 정상적인 상태라는 것입니다.

   즉... 하리쪽 끝까지 모요가 들어가는 경우에도 화광판으로 출력하면 문제없이 출력 가능하다는 뜻이 되기도
   합니다...

   
(3) 감광액 및 산화처리
   맘에 드는 편입니다.
   물론 후지판등 최상급 판에 비해서는 좀 모자라는 면이 있지만 중급 판으로서는 상당히 우수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먼저... 감광액을 보자면 약간 유광성이 도는 감광액입니다.
   감광액이 무광을 띠면 띨 수록 좋은 판을 형성한다는 점을 감안해 본다면 약간 아쉬운 면은 있습니다.

   하지만 감광액이 골고루 잘 도포되어 있기에 현상시 군더더기 없이 레이저가 투과되지 않은 곳의
   감광액은 잘 빠져 있음을 알 수 있더군요.

   다만... 판의 제조과정이 대부분 그렇듯이 하리 양 끝쪽과 중간지점의 현상시 양태는 조금 다릅니다.
   그거야 어쩔 수 없는 면이죠.

   판의 뒷면에서 보여주는 양극산화와 전해연마 역시 우수합니다.
   보통 3cm와 7cm를 기준으로 확인하게 되는데... 표준을 어느정도 유지하더군요..

   다만... 생산일을 기준으로 약간 차이는 납니다만 크게 차이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코니타 판에서 보여지는 스크레치 문제는 화광판을 씀으로서 완전히 해소가 되었습니다.
   물론 일부로 긋는 경우라면 모를까 아니라면 더 이상 스크레치 문제로 저를 힘들게 하는 일은 없어졌죠...

(4) 이물질(고무액 찌꺼기등)들의 묻는 빈도
   사실 이 문제는 현상기 청소를 얼마나 자주 했는가와 직결되는 문제라 여기서 다루기는 좀 그렇지만...
   고무액 상태가 좋지 않을 때 화광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문제라 다루고자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잘 묻어납니다. ㅠ_ㅠ...
   고무액 상태가 안 좋을 경우 잘 봐야 합니다.

   떠도는 풍문에 의하면 잘 묻지 않는다고 알려져있습니다만...

   실제 사용해본 결과 사실이 아닌 것 같습니다.

   고무액을 오래 사용하는 곳이라면... 고무액 교체시기를 잘 잡아야합니다.
 
   안그러면... 인쇄소로부터 전화를 여러통 받게 될 겁니다.

   판 지저분하다구요... ㅠ_ㅠ...

  
(5)망점의 상함정도와 인쇄시 까지는 빈도수...
   이 부분은 상당히 후한 점수를 줄만합니다.
  
   판을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중에 하나가 망점이 깨지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실제 판을 보다보면 그런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출력기쪽의 이상작동이 아니라면... 판쪽에서 발생되는 망점의 이상함은 아직까진 보지 못했습니다.
 
   또한... 얼마전에 1대당 109연짜리 인쇄물에 대한 판을 출력한 적이 있었는데
   인쇄소나 거래처에서 판에 대한 불만은 접수되지 않았다고 하더군요.

   그런 점에서 볼 때 인쇄에서의 판의 강도문제 역시 문제 없는 것으로 보이구요...
   

아직 화광판을 오래 사용하지는 않았기에 아직 장단점을 말하긴 좀 이른 감은 있긴 합니다만....
중가 판중에서 이만한 판을 보긴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다음 포스팅부터는 CTP출력기(루셔사 제품을 기준으로...)를 다뤄볼까합니다..
CTP에서 출력기의 역할은 말하지 않아도 알만큼 중요한 것이죠...

그럼 다음 포스트를 기대하시길~ ^^;
  
Posted by 빛나는 돌

ctp 판(1)

2009. 7. 2. 08:07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ctp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후지판, 코니타판, 화광판, 제일판, 토탈판(시너지1/시너지2), 디탑판,세일판등 말이죠...

판 일을 한지는 얼마 안되서 그다지 잘 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이 쯤해서 판에 대해 정리를 조금이라도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포스팅을 남기게 됬죠...

객소리는 접고... 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볼까요?



(1)후지판
현재 우리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판중에서 가장 비싼 판입니다.
하지만 역시 값어치를 하긴 하더군요,,,

후지판으로 판을 출력하면 잘못될 확률이 상당히 적어집니다.
고무액이나 각종 찌꺼기들이 잘못 묻는 경우도 드물고...
현상기 속도도 아주 빠르게 잡을 수가 있죠.

1% 망점도 확실하게 살아있고 인쇄소에서 많은 양의 인쇄를 할 때에도 전혀 망점이 뭉개지거나
날리는 경우가 없죠...

다만 단점이 있다면 가격이 비싸다는 것과 아주 드물지만 판에 이물질들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를 제외하면 아주 좋은 판임에 분명하죠...

(2)화광판
제조회사는 잘 모르겠지만 이 판도 상당히 좋은 판입니다.
정확한 구입단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고가의 판이라고 들었지요.

저희 회사에서는 코니타판과 더불어 1030*800판일 경우 가장 많이 쓰는 판중에 하나입니다.
후지판과 비슷한 특성이 있어서 망점이 잘 살고 찌꺼기들이 묻는 경우가 거의 없죠...

감광액이 무광이며 골고루 잘 발라져 있고 전해연마, 양극산화등 판 제조과정 역시 우수합니다...


다만 아직 장통일 경우에는 사용해 본적이 없기에 인쇄물을 많이 인쇄해야 하는 경우 판의 강도가
어떨지는 확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용해 보신 분이라면 화광판을 좋아할겁니다...

(3)코니타판
현재 저희 회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판입니다.
중저가 판들중에 가장 무난한 판이죠.

이 판의 최대장점은 망점의 강인함(?)에 있습니다.
현상속도를 아무리 낮게 잡더라도(현상액에 오래 담겨져 있어도) 1% 망점이 죽질 않습니다.
그렇기에 망점이 중요한 데이타일 경우 이 판으로 쓰는 것이 좋죠...

실제 제일/토탈/세일/디탑/정도판과 코니타 판을 비교해보면 코니타판이 가장 망점이 잘 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겁니다.

인쇄발이 올라오는 것 역시 코니타판이 훨신 빨리 올라오죠.

전에 영업담당자가 만화책을 만드는 출판사를 컨택하기 위해 인쇄교정을 낸 적이 있었습니다.
갱지에 제일판 한 번, 코니타판 한 번 이렇게 교정을 냈었는데,
코니타판으로 찍은 것이 너무나도 인쇄발이 강하게 나와서 놀랐던 적이 있었더랬습니다.

아무튼 가구관련 책자나 브로셔등 망점이 잘 살아야하는 인쇄물인 경우 코니타판을 쓰면 좋죠...

하지만...
단점 역시 상당히 강합니다...(아니 어찌 보면 장점을 상쇄할 만큼 위험성을 가진 판이기도 합니다.)

  (ㄱ) 스크레치 문제...
         이 문제가 가장 빈번하게 나오는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것이죠.
        현상액의 농도가 강할경우 박스에서 판을 꺼내면서 간지에 스쳐지는 부분이 스크레치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표적인 문제입니다.

        제일 C&P측에서는 스크레치 문제는 판 문제라기 보다 사용자의 부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다라고 말을
        합니다. 맞는 말이긴 한데... 같은 조건에서 후지/화광판에서는 스크레치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사용자의 부주의에서 비롯된다고 보긴 어렵다고 봅니다.

        보통 코니타판의 수요가 공급보다 크기에 중국현지 생산공장에서 생산된 것을 바로 공수해 온다는 것을
        감안해볼 때 감광액이 아직 무르기 때문이 아닐까하는 추측을 해보곤 합니다...

        또한 롤라자국등 외부에서 나타나는 데미지가 인쇄에 올라오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것을 생각해볼때
        이 문제는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특히 700rpm이상의 고속으로 출력되는 루셔 230이상 또는 바시스등 자동출력장비등의 경우 현상기의
        현상속도가 출력기의 속도와 어느정도 매치가 되야 일이 무리없이 진행된다는 것을 생각해볼 때 이 문제
        는 간과해서는 안되는 문제라고 봅니다.        

         아무튼 이 문제는 정말 심각합니다.

  (ㄴ) 판 자체의 요그레(?)
         보통 판에 바르는 감광액이 무광일 경우 좋은 판으로 인식을 하곤 합니다.
         유광일 경우보다 무광일 경우 판에서 요그레가 나타날 확률이 적죠.
       
         또한 감광액이 골고루 발라져 있을 경우 출력시 레이져가 쏘지 않은 부분은 현상시에 균일하게 그대로
         날라가게 되죠...

         보통 코니타판의 경우 위의 두가지 조건이 만족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만, 실제로 판을 출력해서 루뻬
         (50배이상)로 확인해보면 점같이 생긴 요그레가 나타납니다.

         인쇄소 기계에 따라 달라집니다만 실제 그 점같은 놈이 인쇄에 올라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것을 없애기 위해선 현상시간을 늦추어서 현상액에 판이 더 오래 담겨지도록 하게하곤 합니다만
         이럴 경우 (ㄱ)에서 언급한 대로 스크레치나 롤라자국등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받는 데미지가 더 크게
         나타나 인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자... 후지/화광/코니타판에 대해 적어봤습니다.
내일이나 모레쯤엔 제일, 토탈(시너지1/시너지2), 세일, 정도, 디탑판에 대해 썰을 풀어보겠습니다...
        




Posted by 빛나는 돌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5)
출력이야기... (20)
출판단지.... (1)
사는 이야기... (1)
잡동사니 (8)
음악 (2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달력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